
오늘은 수학학목차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수학하는 교육과정으로 고등학교 1학년 2학기에 배우게 되는 과정입니다.
예비고1 경우에 겨울방학에 고등수학 상,하를 모두 선행해야하는 경우가 많아 준비해보는 시간입니다.
필요하신 분들 잘 보시고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수학하 첫 단원입니다.
1. 집합
가. 집합
1) 집합과 원소
2) 집합의 연산
나. 명제
1) 명제와 조건
2) 명제의 역과 대우
3) 대우를 이용한 증명법과 귀류법
4) 충분조건과 필요조건
5) 절대부등식
첫번째 단원은 집합과 명제입니다. 예전 교육과정에서는 집합이 중학교 과정에 있었던 내용인걸 아시는 분들도 많은 텐데도, 현 교육과정에서는 집합은 고등학교1학년 2학기 첫단원에 나오는 과정입니다.
명제는 정확한 표현을 이해하고 부정, 역, 대우를 완벽히 이해하고 서술형이나 논술형으로 잘나오는 증명과정이 이번 파트에서 가장 많이 출제됩니다. 절대부등식에 산술기하평균과 코시슈바르츠 공식들도 꼭나오는 시험문제 이니 확실하게 공부해두시길 바랍니다.

수학하 두번째 단원입니다.
2. 함수
가. 함수
1) 함수의 정의과 그 그래프
2) 합성함수와 역함수
나. 유리함수
1) 유리식
2) 유리함수와 그 그래프
다. 무리함수
1) 무리식
2) 무리함수와 그 그래프
두번째 단원은 함수입니다. 함수의 정의과 여러가지 함수들을 이해하고 식과 그래프, 벤다이어그램등으로 표현되어진 함수들을 구분하고 판별하는 것을 공부하게 됩니다.
그리고 나오는 유리함수와 무리함수입니다. 중학교 1학년에 나오는 반비례그래프 기억나시나요? 유리함수의 기본이 되는 내용으로 기억이 안난다고 해서 걱정할 정도의 개념은 아니니 걱정하지 마시고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잘 공부해 두시길 바랍니다. 내신으로는 곧 잘하는 학생들도 모의고사 4점짜리 문제로 나오는 응용문제경우 많이 힘들어하는것을 보며 유형으로 암기한 경우를 많이 보아 개념에 신경을 쓴다면 좋을것 같다는 생각을 하는 파트입니다.

수학하 세번째 단원입니다.
3. 경우의수
가. 순열과 조합
1) 경우의 수와 순열
2) 조합
중학교 2학년 마지막 파트에서 경우의 수와 확률에 대해 공부한 적이 있습니다.
이 내용과 같은 내용으로 그때는 알지 못했던 공식과 내용을 식으로 만들어 훨씬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되어, 중2과정에서 열심히 했던 학생들은 이번단원에서 정말 쉽게 이해하고 넘어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단원은 고3 과정인 선택수학 중 확률과통계에서 다시 연결되어 배우게되는 연계과정이니 확실히 잘 공부해 두길 바랍니다.

오늘은 고등학교 1학년 2학기에 배우는 수학하 목차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목차를 보고 단원들을 이해하고 잘 준비해볼 수 있는 계획을 세워두길 바랍니다.
